일반

칠극(七克)

rainbow3 2020. 3. 11. 02:21


《칠극》은 서양(西洋) 사람 방적아(龐迪我)의 저술로 곧 우리 유교(儒敎)의 극기(克己)의 논설과 같다.

 

그 말에 “인생(人生)의 백 가지 일은 악(惡)을 사르고 선(善)을 쌓는 두 가지 일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므로, 성현의 훈계는 모두 악을 사르고 선을 쌓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무릇 악이 욕심에서 생겨나기는 하나 욕심이 곧 악은 아니다. 이 몸을 보호하고 영신(靈神)을 도와주는 것이 바로 욕인데, 사람이 오직 사욕에만 빠지므로 비로소 허물이 생겨나고 여러 가지 악이 뿌리박는 것이다.


이 악의 뿌리가 마음속에 도사려,


부(富)하고자 하고, 귀(貴)하고자 하며, 일락(逸樂)하고자 하는 이 세 가지의 큰 줄기가 밖에 나타나고

줄기에서 또 가지가 생겨,

 

부하고자 하면 탐심(貪心)이 생기고,

귀하고자 하면 오만(傲慢)이 생기며,

일락하고자 하면 탐욕(貪慾)과 음탕(淫蕩)과 태만(怠慢)이 생기고,

혹 부귀와 일락이 나보다 나은 자가 있으면 곧 질투심(猜心)이 생기고,

내 것을 탈취당하면 곧 분심(忿心)이 생기는 것이

바로 칠지(七枝)인 것이다.

탐심이 돌과 같이 굳거든 은혜로써 풀고,

오만함이 사자(獅子)와 같이 사납거든 겸손으로써 억제하며,

탐욕이 구렁[壑]과 같이 크거든 절제(節制)로써 막고,

음심(淫心)이 물과 같이 넘치거든 정절(貞節)로써 제지(制止)하며,

게으름이 지친 말과 같거든 부지런함으로써 채찍질하고,

질투심이 파도와 같이 일어나거든 너그러움으로써 평정시키고,

분심이 불과 같이 일어나거든 참는 것으로써 지식(止熄)시킬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 칠지 가운데에는 다시 절목(節目)이 많고 조관(條款)이 순서가 있으며 비유하는 것이 절실하여

간혹 우리 유교에서 밝히지 못하였던 것도 있으니, 그 극기복례(克己復禮)의 공정(功程)에 도움이 크다고

하겠으나, 다만 천주(天主)와 마귀의 논설이 섞여 있는 것만이 해괴할 따름이니, 만약 그 잡설을 제거하고

명론(名論)만을 채택한다면, 바로 유가자류(儒家者流)라고 하겠다.

  

**칠극(七克) 명(明) 나라 방적아(龐迪我)가 찬(撰)한 일곱 권의 책인데, 천주교(天主敎)의 복오(伏傲)ㆍ평투(平妬)ㆍ해탐(解貪)ㆍ식분(熄忿)ㆍ색도(塞?)ㆍ방음(坊淫)ㆍ책태(策怠) 등 7기(忌)의 설을 논하였다.

《四庫提要 子 雜家類存目》 《類選》 卷十上 經史篇九 異端門.

 

 

성호사설(星湖僿說)

제11권 인사문(人事門) 이익(李瀷) 생년 1681 몰년 1763 조선 후기 실학자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숙종7) ~ 1763(영조39))이 쓴 책이다. ‘사설’은 자잘한 논설이라는 뜻으로서 겸사로 붙인 이름이다.

천지문(天地門)’, ‘만물문(萬物門)’, ‘인사문(人事門)’, ‘경사문(經史門)’, ‘시문문(詩文門)’으로 분류하고, 생각나고 의심나는 점을 그때그때 적어둔 형식을 취했다.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에 관한 짧은이야기  (0) 2020.03.11
말없이 사랑하여라  (0) 2020.03.11
전도몽상(顚倒夢想)  (0) 2020.03.11
# 마음의 자리_서암스님  (0) 2020.03.11
정심광지(定心廣志)   (0) 2020.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