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 : 사야도께서 일하는 마음으로서의 알아차림과 아는 마음으로서의 식(識, 윈냐나)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아는 마음에 대해서 많은 말씀을 해주셨는데, 아는 마음의 기능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주십시오.
사야도 : 식(識)은 대상과 함께 일어나는 마음이다.
아는 마음은 수행을 통해 알아차릴 수는 있지만 사용할 수는 없다.
아는 마음은 대상을 접촉하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마음이기 때문이다.
일하는 마음이 - 나는 이것을 관찰하는 마음이라고 부르지만 - 현존하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을 알아차릴 수 있다.
그러나 오온 중 다른 요소들 즉 느낌, 지각, 상카라가 식을 따라 함께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들 요소들은 항상 동시에 작용한다.
수행자 : 식에 파장을 맞추는 것이 도움이 됩니까?
식을 관찰한다면, 식에 대한 마음챙김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사야도 : 그렇다.
식을 대상으로 삼고, 조사할 수 있다.
오온의 기능을 조사할 수 있다.
식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느낌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인식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상카라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식은 단순한 것이어서 단지 대상을 아는 것이다.
느낌은 느낄 뿐이고, 인식은 사물과 사건을 단지 인식할 뿐이다.
그대는 전에 한 번 보았을 뿐인데 어떻게 그 사람을 기억하고 인식할 수 있는가?
수행자 : 인식이 자동적으로 그렇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사야도 : 정확하다.
알아차리든 알아차리지 않던 인식은 스스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수행자 : 이름을 기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사야도 : 그렇다.
인식은 특별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때로는 매우 세밀하게 기억하고, 때로는 거의 기억하지 못한다.
관심이 없는 일은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동양사상 >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계를 지켰을 때의 이익과 지키지 않았을 때의 불이익 (0) | 2020.06.23 |
---|---|
보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보시 완전 정복) | (0) | 2020.06.22 |
장로 스님의 교화(수행의 경지를 점검하다) (0) | 2020.06.22 |
반야심경 원문과 해석 (0) | 2020.06.20 |
4가지 집착과 다른 종교에는 성인이 없는 이유 (0) | 2020.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