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언』과 ‘양생’ 『순언』과 ‘양생’ ― 그 정치철학적 양생론의 가능성에 대한 모색 *이 종 성 -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요 약 문 이 글은 율곡의『노자』주석서인『순언』을 중심으로 ‘양생’에 대한 내용과 입장을 살펴보는데 목표가 있다. 율곡이 보는 ‘양생’의 의미는 ‘생명을 잘 기르는 것’.. 동양사상/일반 2019.09.30
중국선에 미친 노장사상의 영향 중국선에 미친 노장사상의 영향 / 김진무 1. 서언(緖言) 중국의 불교 전래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최고 권력기관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민중에 ‘이식(移植)’을 시도함으로부터 이루어졌다고 하겠다. 그것은 고대국가를 완성함으로부터 출현한 대제국을 통치하는 데 고도의 사상이 필.. 동양사상/노장자 2019.09.30
도가의 무(無)와 불교의 공(空) 도가의 무(無)와 불교의 공(空) / 하유진 1. 도가의 유무관(有無觀) 도가의 무에 대한 입장은 주로 노자(老子)와 위진(魏晋) 시기 현학(玄學)에서 나타나는 무에 대한 견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의 무에 대한 견해는 다시 유와의 관계 속에서 더욱 분명히 드러난다. 그러므로 .. 동양사상/일반 201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