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64괘

주역(周易) 睽卦第三十八

rainbow3 2020. 4. 6. 02:33


♣ 주역(周易) 睽卦第三十八

  : 화택규


불과 못을 말하는 火澤은 위에 불이 있고 아래에 연못이 있음을 상징하는데 

서로 흘겨보면서 옥신각신 반목(反目)하는 것을 뜻한다  

睽, 小事吉                                 규는 작은 일에 길하다

   睽/규 : 등지다,배반함<睽者乖也(易經)> 

彖曰, 睽, 火動而上, 澤動而下하며,   단에 "규는 불은 움직여 올라가고 못은 움직여 내려가며 

二女同居, 其志不同行.                 두여자가 함께 사나 그 뜻은 함께 가는 것이 아니다 

說而麗乎明, 柔進而上行,              기뻐하고 밝은 것에 붙으며 유가 나아가 위로가서  

得中而應乎剛, 是以小事吉.           중을 얻어 강에 응한다. 이 때문에 작은 일은 길한것이다 

天地 睽而其事 同也며,                천지가 등졌으나 그 일은 같으며   

男女 睽而其志 通也며,                남녀가 등졌으나 그 뜻은 통하며     

萬物 睽而其事 類也니,                만물이 등졌으나  그 일은 같은 부류이니  

睽之時用이 大矣哉!라                 규의 때와 용이 위대하도다!         

象曰, 上火下澤, 睽,                    상에 "위는 불이고 아래는 못이 규이니 

君子以同而異.                          군자가 이로써 보고 같이하고 또 다르게 한다 

   (같이 할것은 같이하고 다르게 할 것은 다르게 한다)  


初九, 悔亡, 喪馬, 勿逐自復,          초구는 "뉘우침이 없어지니, 말을 잃고 쫒지 않아도  

                                           스스로 돌아올 것이니 

<위에는 불이고 아래는 물이기 때문에 약간의 상위점은 있으나 괘덕(卦德)이 서로 응하여 뉘우침이 없어지기 때문에 말(馬)을 잃고 쫒아가지 않아도 저절로 찾아오게 되는 상이다. 그러나 반드시 악한 사람을 만난 뒤라야 허물을 피할 수 있는데 이는 마치 공자가 양화(陽貨)에게서의 일과 같다> 

見惡人, 无咎.                          악인을 만나보면. 허물이 없으리라" 

<악인이 만나 보기를 원할 경우 허물을 피하기 위하여 가서 만나 본다는 뜻으로  

 공자가 양화(陽貨)를 찾아보러 갔던 것과 같은 예임> 

 

<소인으로 인정에 어긋나는 자가 지극히 많으나, 만약 그들을 끊어버린다면 온 천하의 사람으로서 군자를 원수로 여기게 함에 가깝지 않겠는가? 

이와 같다면 넓게 포용하는 뜻을 잃게 되어, 흉함과 허물을 부르는 도리가 되는 것이니, 또 어찌 不善을 잘 和하게 하여 人情에 合하게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반드시 악인을 봐도 허물이 없게 된다, 옛날의 성왕(聖王)이 간흉(姦凶)을 잘 和하게 하여 善良으로 만들고,원수를 고쳐 신민(臣民)으로 한 것은 끊어 버리지 않았기 때문이다>하였다(星湖僿說) 

 

<사람들이 반목하는 때를 당하여 군자가 악인을 만나 보는 것은 악인을 거절함으로써 야기되는 원망과 허물을 막아 사람들 사이의 화합을 꾀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象曰, “見惡人”, 以辟咎也.             상에 "악인을 만남"은 잘못을 피하기 위해서다


九二, 遇主于巷, 无咎.                  구이는 "군주를 골목에서 만나야 허물 없으리라" 

  <완곡하게 군주와 합치되기를 구한다는 뜻> 

  <신하가 군주를 극진히 받들어 지극한 정성을 다하여야 서로 道에 합하고 

    뜻이 통하여 일을 이루게 된다는 뜻이다>(高峯集) 

  <九二가 강중(剛中)의 덕으로 육오(六五)의 군주를 곡진하게 求하여 만난다는 의미이다> 

  <규괘는 관계가 서로 어긋난 상태를 의미하고 이는 만큼 마땅히 위곡하게  

   행동하여 합치되기를 바라야 한다는 뜻임>(象村先生集) 

  (화택규(火澤)의 초구(初九)와 구이(九二)가 변하면 화지진(火地晉)이 된다. 

   이때 卦의 구이가 占辭에 해당되는데,卦의 卦辭는 小事吉이라하였고  

   遇主于巷无咎라하였다) 

象曰, “遇主于巷”, 未失道也.           상에 "군주를 골목에서 만남"은 도를 잃은 것은 아니다 

 

六三, 見輿曳, 其牛,                   육삼에 "뒤에서 수레를 당기고 앞에서 소를 저지하며  

其人天且劓니. 无初코 有終하리라.  수레에 탄 사람은 이마에 먹물을 넣고(天) 또(且) 코가 베이는 것(劓)을 보니

                                             처음은 없지만(좋지 않지만), 끝은 있으리라" (나중은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天/천 : 형벌의 이름,이마에 먹물을 넣어 표하거나 머리를 깍음 

   輿/여 : 수레,가마 

   曳/예 : 끌다,끌어당기다,고달프다,힘꼅다,이끌리다 

   /체 : 끌다,끌어당기다,뽑다,잡아당기다,

   劓/의 : 코베다,베다,자르다  

象曰, “見輿曳”, 位不當也오,         상에 "뒤에서 수레를 당김"은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고 

“无初有終”, 遇剛也.                   "처음은 없고 나중은 있음"은 강을 만나기 때문이다

 

九四, 睽孤, 遇元夫, 交孚, 厲无咎.   구사는 남이 배반하여 외로워 원부를 만나 서로 믿으니,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으리라 

       睽孤/규고 : 남이 배반하여 고립함   

象曰, “交孚无咎”, 志行也.             상에 " 서로 믿으니 잘못이 없을 것이다"는 뜻이  

                                             행해질 것이다 라는 말이다 


六五, 悔亡하니, 厥宗이噬膚면, 往에何咎리오?  육오는 후회할 일이 없어진다 

                                                           친족이 살을 깨물듯이 한다, 가는것에 무슨 잘못이 있으리오? 

   噬/서 : 씹다,먹다,깨물다,삼키다,빼앗다,미치다 

象曰, “厥宗噬膚”, 往有慶也.                         상에 "친족이 살을 깨물듯이 한다"함은 가는 것에   

                                                           경사가 있다는 것이다

 

上九, 睽孤하야,                                        상구는 "남이 배반하고 등져 

     睽孤/규고 : 남이 배반하여 고립함  

見豕負塗와, 載鬼一車라,                            돼지가 진흙을 진것과 귀신이 한 수레에 가득 실려 

                                                          있는 것을 보는 지라 

先張之弧라가, 後說之弧하야,                      먼저 활을 당겼다가(잘못본을 깨닫은)  

                                                          뒤에 활줄을 풀어 놓을 것이다(활집에 보관한다)" 

<상구(上九)는 어그러짐이 심한 나머지 육삼(六三)과 정응(正應)이면서도  

규(:등지는 것)의 극(極)에 거하다 보니 의심하지 않는 것이 없다. 

그래서 육삼(六三)을 진흙 속에 뒹구는 돼지처럼 더럽게 보고  

그의 죄악을 미워하여 없는 죄악까지 덧씌우기를  

마치 형체가 없는 귀신이 수레에 가득히 실려 있는 귀신을 보는 것처럼 하는 것이다. 

귀신은 본래 형체가 없는데 한 수레 가득히 실려 있는 것을 본다는 것은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여김을 말한 것이니, 망녕됨이 지극하다"하였다> 

<載鬼一車/재귀일거 : 미워하는 마음때문에 없는 잘못을 일는 것처럼 본다는 

                               뜻으로, 근거 없이 만들어 낸 허황된 말을 의미한다> 

<先張之弧,後說之弧 : 있지도 않은 귀신이 수레에 가득 차 있는 줄알고 

      활을 당긴다.(귀신이 실지로는 없으므로)뒤에 활을 풀어 놓는다>   

<서로 반목하고 질시하는 것을 말한다> 

<돼지가 진흙을 뒤집어썼다(豕負塗)는 것은 4효의 감체(坎體)를 가리킨다 

귀신을 한 수레에 실었다(載鬼一車)는 것은 2효의 태체(兌體)를 가리킨다 

감(坎)은 돼지가 되고 태(兌)는 무당이 된다 

먼저는 활을 당겼다(先張之)는 것은 이(離)가 과병(戈兵)이 되기 때문이다 

또 이체(이체)는 가운데가 비고 원만하여 활을 당기는 상이 있는데, 상구가 스스로 말한 것이다 "뒤에는 활을 버린다(後說之)는 것은, 상구가 처음에는 육삼이 2,4 두 양의 위협을 받을까 의심하다가 나중에는 의심을 풀고 친하게 대하니 상구에 명체(명체0가 있기 때문이다."가서 비를 만나면(왕우우)"라는 것은 상하체(상하체)가 서로 감(감)을 이루기 때문이다 

태(태)는 무당이 되니 귀신을 교접하는 상이 있다. 困괘의 5효와 隨괘의 6효와 升괘의 2,4효와 대유괘의 3효가 바로 그것이다 

坎은 隱伏이 되니 바로 北防幽隱으로 귀신의 상이 있다 

곤괘의 2효와 기제괘의 5효가 바로 그것이다(順菴集11권) 

 

    弧/호 : 활, 

    說/설 : 말씀,말하다,세/달래다,유세하다,열/기뻐하다,탈/놓아주다,벗다, 

              빼앗기다,제거하다,용서하다 

匪寇, 婚媾니, 往遇雨하면 則吉하리라.          그는 적이 아니라 배우자이니 가서 비를 만나면 길할 것이다 

  匪/비 : 비적(떼지어 다니는 도적),대(나무)상자,문채 

  寇/구 : 도적,떼도둑,원수,난리  

  婚媾/혼구 : 혼인 

  遇雨/우우 : 비를 만난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서로 의심하며 반목하다가 궁극적으로 화합하게 되면

                 마치 음양이 화합하여 비가 내리듯이 길하게 된다는 것이다  

象曰, “遇雨之吉”, 疑亡也.                      상에 "비를 만나면 길함"이란 모든 의심이 없어지는 것이다        



'주역 > 64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解卦第四十  (0) 2020.04.06
주역(周易) 蹇卦第三十九  (0) 2020.04.06
주역(周易) 家人卦第三十七  (0) 2020.04.06
주역(周易) 明夷第三十六  (0) 2020.04.06
주역(周易) 晉卦第三十五  (0) 202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