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의 예 사상과 규범적 질서의 문제 유가의 예 사상과 규범적 질서의 문제 *홍승표 동아시아의 예禮 사상은 현대 사회학의 사회질서론의 근원적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사회질서론을 형성해 가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현대 사회학은 세 가지 유형의 사회질서론을 발전시켜 왔다. 첫째, 교환 이론에서 볼 수.. 동양사상/일반 2019.10.06
순자(荀子)의 자연관과 인간이해 순자(荀子)의 자연관과 인간이해 * 최 영 찬 [논문개요] 순자는 과학적 사유의 철학자다. 그러므로 순자철학에서는 실증성과 논리성이 돋보인다. 순자는 이러한 과학적 사유 속에서 경험과 사실을 바탕으로한 현상적 자연관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인간을 이해하고 국가사회와 인의(仁義).. 동양사상/일반 2019.10.04
자연과 인간 사이, 그 속에서의 禮의 의미 자연과 인간 사이, 그 속에서의 禮의 의미 - 藏書閣 所藏 小學諸家集注를 中心으로 - 房 世 英*1 목 차 1. ‘순임금의 성인됨’ 엿보기2. 자연에서 와서 인간으로 살기 : 日常의 이중성3. 禮를 습득하여 天理와 하나 되기 : 日益工夫4. 禮를 통해 사사로운 마음을 덜어내기 : 日損工夫5. 자연과.. 동양사상/일반 2019.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