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 이성(理性. logos. ratio. reason. Vernunft) 이성의 의미 사람들은 흔히 일의 이치를 들어 사리(事理)라 일컫고, 물질에도 이치[物理]가 있으며, 마음에도 이치[心理]가 있고, 사람다운 행실의 이치[倫理]가 있으며, 생각과 말에도 이치[論理]가 있다 한다. 수에도 이치[數理]가 있는가 하면, 글 깨우..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정신 정신(精神. spiritus. Geist) 낱말 '정신'의 유래와 상관 개념 우리말 '정신'은 본디 한자말이다. 한글말 '정신'은 한자어 '精神'을 한국 사람들의 발음으로 읽어 적은 것이다. 곧,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정신(精神)'이라는 낱말은 1870/80년대 일본인들이 서양 사상을 수용하면서 'spirit'·'Geist'..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허위 허위(虛僞. Falschheit)·착오(錯誤. Irrtum)· 가상(假象. Schein) '비진리'의 문제 인간은 누구나 착오를 범하기 마련이다. 인간이니까 실수한다. Errare est humanum. 착오, 실수, 환상, 가상, 거짓, 허위 등은 어느 면에서 인간에게는 불가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간의 부족함을 보완해 주는 성격..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진리(眞理. veritas) 진리(眞理. veritas) 진리에 대한 철학적 물음 사람의 의식 활동 방식을 지(知)·정(情)·의(意)로 구분해보면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최고 가치는 진(眞)·선(善)·미(美), 이렇게 셋이 있다고들 말한다. 그런데 우리말 사용 예에서는 이 세 종류의 가치가 '참'의 가치로 통합되기도 한다. 우리..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인식론(認識論. epistemologia) 인식론(認識論. epistemologia) '인식론'의 개념 반성적으로 문제의 근원을 밝혀 가는 작업인 철학의 한 분야로서 인식론(認識論, epistemologia, epistemology, theory of knowledge, Erkenntnislehre)은 인식의 가능 원리를 탐구한다. 인식론 곧 '인식에 대한 이론'은 인식에 대한 반성의 결실인데, 인식에 대해..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존재론(存在論. ontologia) 존재론(存在論. ontologia) '존재론' 개념의 형성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에 관한 철학(→)적 이론을 각각 '존재론', '인식론'(→)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어떤 철학자들의 파악에 따르면 인식의 원리가 곧 존재의 원리가 되므로, 그런 경우 존재론과 인식론은 내용적으로는 차이가 없고, 다..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a)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a) '형이상학'의 유래 우리말 '형이상학'은 서양말 metaphysica·metaphysics·Metaphysik의 번역어 '形而上學'에서 유래한다. 원래의 말 'metaphysica'는 기원전 1세기에 안드로니코스(Rhodos의 Andronicos)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322/1)의 저작들을 정리하면서 제목 없..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개념 개념(槪念. conceptus. Begriff) 개념의 의의 사람들의 생각을 언표하는 기본적인 형식은 문장이고, 문장은 낱말[단어]들로 구성된다. 그런데 낱말은 근본적으로는 개념(槪念)을 언표한다. 개념들이 연이어져 한 덩어리의 생각이 이루어지는 만큼, 개념은 의미 있는 생각의 최소 단위이다. 그러..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철학의 방법 철학의 방법 그러면 이제, 여전히 '과학들'의 문제 영역 밖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이는 소위 '철학적'인 문제들을 탐구하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 수 있을까? 일찍이 칸트는 자주 사람들에게 '철학을 배우지 말고, 철학함을 배우라'(Kant, K.d.r.V., A837=B865 참조)고 강조했고, 이른바 철학..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
'철학'의 개념 '철학'의 개념 '철학'은 무엇을 하는 학문인가? '철학함'이란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인가? 철학의 정체는 무엇이며, 철학한다는 게 도대체 무엇엔가에라도 쓸모가 있는가? - '철학'에 접하는 많은 사람들은 예나 지금이나 그리고 보통 사람이나 '철학자'라고 일컬어지는 사람이나 자주 이런.. 인문철학/철학 개념 ??.. 2019.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