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64괘

주역(周易) 賁卦第二十二

rainbow3 2020. 3. 23. 00:41


♣ 주역(周易) 賁卦第二十二

   : 산화비


艮上離下/간상리하(山火賁) 

비괘(賁卦)는 강유(剛柔)가 서로들 바꿔가며 수식해 주는 것이다 

賁, 亨, 小利有攸往하니라.           비는 형통하니,가는 것이 있음이 조금 이롭다

       賁/비 : 꾸미다,장식하다,섞이다,분/크다,거대하다,달리다,아름답다

彖曰, 賁亨은,                           단에 이르기를 "비가 형통하다는 것"은  

柔來而文剛故로 亨하고,             유(柔)가 와서 剛을 文明케하기 때문에 형통하고 

        (泰卦가 卦가 된것을 말함)  

剛하야上而文柔,                    강(剛)이 나뉘어서 올라가 柔를 文明케한다 

       (泰卦의 上爻가 내려오고 二爻가 上으로 올라간것을 말함)  

故小利有攸往하니. 天文也오,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조금 이롭다 이는 천문이요

(강(剛)하면서도 밝으므로 형통(亨通)하고, 유(柔)하면서도 그치므로 가는 바에 조금 이로운 것이다/지산집) 

文明以止                                글은 누구나 알 수 있도록 분명하게 지어야 한다

人文也.                                  이는 인문이니    

觀乎天文, 以察時變,                  천문을 관찰하여 사시의 변화를 관찰하고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인문을 관찰하여 천하를 교화시킨다 

(시변(時變)은 역시 유(柔)가 오고 강(剛)이 가는 象이다, 화성(化成)역시 剛이 柔로 변하고 柔가 剛으로 변하는 象이다) 

(化成/시서예악(詩書禮樂)의 가르침에 의거하여 교화시키는것을 말한다. 

당나라 공영달이 해설하기를 "성인이 인문을 관찰하다는 것은 시서예악을 의미하니, 이 가르침을 법도로 삼아서 천하를 교화시킨다는 말이다"라 하였다) 

象曰, 山下有火, 賁, 君子以明庶政,           상에 이르기를 "산아래에 불이 있는 것이 비(賁)이니,

                                                     군자가 보고서 여러 정사를 밝히되 

无敢折獄.                                         옥사의 판결을 과감하게 하지 않는다"


初九, 賁其趾, 舍車而徒.                        초구에 발을 꾸밈이니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 

<傳에 "이는 강명(剛明)한 덕을 지닌 군자가 지위가 없는 자리에 있어서 천하에 덕을 베풀지 못하고 오직 스스로 자신이 행하는 바를 꾸밀 뿐이다> 

<차라리 벼슬을 그만두고 빈궁하게 살지언정 의리를 굳게 지키는 군자의 길을 제시하는 말이다> 

<감(坎)은 윤(輪)象이다. 타는 자가 아래에 있고, 탈 것이 위에 있다, 初爻는 감체(坎體)의 아래에 있으니, 수레를 버리고 걸어서 가는 사거도(舍車徒)의 상이 있는 것이다>  

象曰, “舍車而徒”, 義弗乘也.                   상에 이르기를 "수레를 버리고 걸어가는 것"은 

                                                      의리상 수레를 탈 수 없어서이다 


六二, 賁其須.                                     육이는 수염을 꾸미도다 

(傳/수염은 턱을 따라 움직이는 물건이다, 움직이고 멈춤이 오직 붙어 있는바에 달려있느니, 선악이 꾸밈에 말미암지 않는 것과 같다) 

(위의(威儀)가 엄숙하고 상하의 구분이 있는것을 예로 삼는다는뜻) 

象曰, “賁其須”, 與上興也.                      상에 이르기를 " 그 수염을 꾸민다"는 것은 

                                                      위와 함께 움직이는 것이다 


九三, 賁如, 濡如, 永貞吉.                       구삼에 빛난듯 물에 젖은 듯 길이 정하면 길하다

象曰, “永貞之吉”, 終莫之陵也.                상에 이르기를 "빛난듯 물에 젖은 듯 길이 정하면 길하다"는 것은

                                                     끝까지 능멸함이 없다 


六四, 賁如, 皤如,                                육사는 꾸밈이 희며

     皤/파 : 희다,불룩하다 

白馬翰如, 匪寇, 婚媾.                          백마가 나는듯이 오니 그는 도적이 아니라 혼구이다 

<백마가 나는 것 같으니 도둑질하는 것이 아니라 혼인을 구하는 것이다> 

    翰/한 : 편지,문서,깃털,붓,모필,흰말,백마,털이 긴말,금계

   婚媾/혼구 : 혼인 

            <혼인과 흰말은 은나라대의 풍습이다>  

象曰, 六四當位, 疑也,                         상에 이르기를 "육사는 당한 位가 의심스럽기 때문이니  

“匪寇婚媾”, 終无尤也.                        "도둑이 아니면 배우자(혼구)일 것이다" 는 것은 

                                                    끝내 원망이 없는 것이다 


六五, 賁于丘園,                                 육오는 향리의 뒷동산을 아름답게 꾸몄으나 

  <丘는 艮象이다, 園은 삼효부터 오효까지의 호체가 震이고 사효부터 상효까지의 반체(反體)가 진(震)인데 진은 번(藩)이 되며, 사효과 오효가 가운데가 비었으니 원(園)의 상이 있는 것이다> 

   賁丘園/비구원 : 전원을 꾸민다, 채소의 씨앗을 얻어 채마밭을 가꾼다

    丘園/구원 : 황폐한 초야로서 은거하는 자가 머무는 곳을 말한다      

束帛戔戔, 吝, 終吉.                            한 묶음 비단 필이 조촐하기만 하니,인색한 느낌이 들기는 하나

                                                    끝내 길하리라 

 <언덕과 동산을 꾸미니 묶어놓은 비단이 재단이 되어 있는 것 같다>(한강집) 

   戔/전  적다,작다,화폐단위,찬/깎다 

<육오에 "구원(丘園)에 광채가 있으나, 속백을 재단하여 옷을 만들면 아깝기는 하나 끝내는 길하리라/시골의 현자가 발탁되어 쓰임을 뜻한다>(홍재전서)  

象曰, 六五之吉, 有喜也.                      상에 이르기를 "육오는 길할 것이다"는 기쁨이 있게 됨이라

 

上九, 白賁, 无咎.                              상구는 꾸미기를 질박하게 하면(희게 꾸미면) 허물이 없다 

    白賁/백비 : 꾸미기를 질박하게 한다  

象曰, “白賁无咎”, 上得志也.                 상에 이르기를 " 꾸미기를 질박하게 하면 허물이 없다"는 것은

                                                   위에 있으면서 뜻을 얻는 것이다 



'주역 > 64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復卦第二十四  (0) 2020.03.23
주역(周易) 剝卦第二十三  (0) 2020.03.23
주역(周易) 噬嗑卦第二十一  (0) 2020.03.21
주역(周易) 觀卦第二十  (0) 2020.03.21
주역(周易) 臨卦第十九  (0) 2020.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