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64괘

주역(周易) 小過卦第六十二

rainbow3 2020. 4. 15. 06:59


♣ 주역(周易) 小過卦第六十二

   : 뇌산소과


震上艮下/雷山小過 

 

소과괘는 양효가 중간에 있으면서 새의 배가 되고 음효가 위아래에 배열되어서 새의 날개를 상징한 것이 됩니다.

그 "난다"고 한 것은 지나치게 조급한 행동을 하는 소인을 빠르게 나는 새에 비유한 것이니 역경에서 물건을 상으로 취한 것이 그 얼마나 분명합니까. (중략)그리고 소과괘는 오로지 일에 합당치 못함과 중(中)에서 지나침을 경계한 것이니 내려오는 것은 마땅하나 올라가는 것은 마땅치 않으며 순행하는 것은 마땅하나 역행함은 마땅치가 않습니다 

저 나는 새를 보면 그 소리가 역으로 올라가기는 어렵고 순으로 내려오기는 쉽습니다. 그래서 소과의 시기를 당하여서는 나는 새의 소리처럼 순하게 하면 크게 길함을 이룰 수 있는 것입니다. 오직 상효의 한 효는 소과의 마지막에 있으면서 합리적으로 만나지 않고 경박한 새처럼 훌쩍 높이 나니, 재앙이 오는 것은 당연합니다. 대개 지나쳐서 중도를 잃고 치우쳐서 올바르지 못한 것도 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초육이 비록 유순한 바탕이라고 하더라도 소과의 초기에 있으면서 유순한 도리를 지키는 군자다움은 없고 조급하게 행동하는 소인의 정신만 있으니 그 점사(占辭)가 그러함은 괴이할 것이 없습니다 

정자가 말하기를 "마땅히 지나치게 해야 할 일은 마땅히 지나치도록 힘써야 하는 것이니, 그렇게 지나쳐야 할 경우에 지나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라고 하였다(弘齋全書 經史講義 小過卦 中에서) 

小過, 亨, 利貞, 可小事,                       소과는 형하니 정함이 이롭다,소 사에 가하고 

不可大事, 飛鳥遺之音,                       대사에는 불가하니 나는 새가 소리를 남김에 

不宜上, 宜下, 大吉.                           소리가 위로 가면 마땅치 않고 내려가면 마땅하니 크게 길하다 

彖曰, 小過, 小者過而亨也,                  단에 "소과는 작은 일이 과하여 형통한 것이니   

過以利貞, 與時行也.                         과하되 정한것이 이로움은 때에 따라 행하는 것이니라 

柔得中, 是以小事吉也고,                   유가 중을 얻어서 이때문에 소사는 길한것이고  

剛失位而不中이라,                           剛이 지위를 잃고 中이 아님이라

是以不可大事也니라.                        이 때문에 대사는 불가하니라  

有飛鳥之象焉하니라,                        나는 새의 상이 있느니라 

 “飛鳥遺之音, 不宜上, 宜下, 大吉”,       나는 새가 소리를 남기니 소리가 위로 감은   

                                                  마땅치 않고 내려가면 마땅하니 크게 길하다  

     宜/의 : 마땅하다,알맞다,화순하다,아름답다,과연,정말,거의,마땅히 

  <사소한 과실이 있더라도 즉시 고쳐 버리면 아주 길함을 뜻함> 

上逆而下順也일새라.                        올라감은 역리이고 내려감은 순리이기 때문이다 

象曰, 山上有雷, 小過,                       상에 "산위에 우레가 있는 것이 소과이니 

君子以行過乎恭,                             군자가 이를 보고 행실은 공손한데에서 지나치게 하며 

喪過乎哀,                                      상사(喪事)에는 슬픔을 지나치게 하며

用過乎儉.                                      쓰는 것에는 검소함을 지나치게 한다 


初六, 飛鳥라 以凶이니라.                  초육은 나는 새처럼 빠르니 흉하다

象曰, “飛鳥以凶”, 不可如何也.            상에 "나는 새처럼 빠르니 흉하다"함은 여하이 함이 불가함이라 


六二, 過其祖, 遇其妣,                       육이는 그 할아버지를 지나, 그 할머니를 만남이니

   /비 : 죽은 어머니,어머니,모친,할머니  

不及其君, 遇其臣, 无咎.                    그 군주에 못미치고 그 신하에 합치하면 허물이 없다 

   遇/우 : 만나다(길에서 만나다,뜻이 맞다,합치함,때를 만나다,등용됨,)알현, 

        맞서다,상대함,대우하다,예우,때,기회,우연히, - 을 당하다,어리석다 

象曰, “不及其君”은, 臣不可過也.         상에 "그 군주에 못미침"은 신하는 지나침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九三, 弗過防之면, 從或戕之라, 凶하리라.   구삼은 지나치게 막지않으면 말암아 혹 상할 것이라. 흉하리라 

   戕/장 : 죽이다,상하다,손상을 입히다,찌르다  

象曰, “從或戕之”, 凶如何也!                    상에 "말미암아 혹 상하리라"하니 흉함이 어떠한가 


九四, 无咎, 弗過遇之니,                         구사는 허물이 없으니 지나치지 않고 알맞게 하니  

往이면 厲라 必戒며, 勿用永貞이니라.       가면 위태로우니라. 반드시 경계해야 하며, 

                                                      쓰지 말고 오래도록 정고해야 함이라  

象曰, “弗過遇之”, 位不當也오,                 상에 "지나치지 않고 알맞게한다"는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고  

“往厲必戒”는 , 終不可長也일새라.           "가면 위태로우니 반드시 경계해야함"은 

                                                      끝내는 오래가지 못하기 때문이라 

六五, 密雲不雨는, 自我西郊니,                먹구름이 끼여 있으나 비가 오지 않음은

                                                      내가 있는 서쪽 교외로부터 오기 때문이니 

  <小畜卦 密雲不雨 自我西郊>   

   西郊/서교 : 서쪽의 교외(郊外),가을철의 들<서쪽들에서 교사(郊사)를 지낸데서 유래함> 

   西/서 : 서녘,서쪽,가을,서쪽으로 향해가다,깃들다,새가 둥우리에 듦,서양    

公弋取彼在穴이로다.                            공이 구멍에 있는 저것을 주살로 취함이로다 

   弋/익 : 주살(활의 오늬에 줄을 매어 쏘는 화살),말뚝,새그물,주살질하다, 

              빼앗다,취하다,사냥하다,뜨다,검다 

象曰, 密雲不雨는 , 已上也일새라.             상에 "먹구름이 끼었지만 비가 오지 않음"은 이미 올라갔기 때문이라

 

上六, 弗遇하야 過之니,                          상육은 알맞게 못하여 지나침이니  

飛鳥離之라, 凶하니,                              나는 새가 떠났음이라, 흉하니 

是謂災眚이라.                                     이를 일러 재생(災眚/과실로 생긴 재앙)이라 하니라 

   災眚/재생 : 과실 따위로 잘못을 저지름,또는 그로 말미암아 생긴 재앙 

   眚/생 : 흐리다,눈에 백태끼다,덜다,잘못,재앙   

象曰, “弗遇過之”는, 已亢也라.                  상에 "알맞게 못하여 지나침"은 이미 높이 오른것이라 

  亢/항 : 높다,극진히 하다,지나치다,높이 오르다,목구멍,용마루,가뭄,별이름 



'주역 > 64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未濟卦第六十四  (0) 2020.04.15
주역(周易) 旣濟卦第六十三  (0) 2020.04.15
주역(周易) 中孚卦第六十一  (0) 2020.04.15
주역(周易) 節卦第六十  (0) 2020.04.15
주역(周易) 渙卦第五十九  (0) 202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