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64괘

주역(周易) 節卦第六十

rainbow3 2020. 4. 15. 06:37


♣ 주역(周易) 節卦第六十

   : 수택절


환(渙)은 떠나는 것이다. 그런데 어떤 물건이든 끝내 떠날 수는 없기 때문에 절(節)로 받은 것이다  

상괘는 태(兌),하괘는 손(巽)으로 이루어져 위의 임금은 아랫사람에게 겸손하고 아랫사람은 임금을 믿고 기뻐서 따르는 형상이 되고 또 초구,구이,육삼,육사,구오,상구로 이루어져 중심이 비어 있는 형상이 된다

중심이 비어 있음, 즉 虛中을 朱子(주자)는 “일이 없을 때 마음이 비어 있는 것”으로 해석, 일체의 선입견이나 사심이 없이 텅 비어 있는 마음의 상태로 모든 사물을 접응(接應)하는 것을 뜻한다고 보았다  

節, 亨, 苦節不可, 貞.                             절은 형통하며 고절은 정고해서는 안된다 

    苦節/고절 : 몸을 괴롭게 해 가면서 절조를 지켜 나가는 것 

彖曰, “節, 亨”, 剛柔分而剛得中할새오.       단에 "절은 형통함"은 강유가 나뉘어 강이 중을 얻기 때문이고 

“苦節不可貞”, 其道窮也일새라.               "괴로운 節度는 貞固할수 없다"함은 그 道가 궁극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說以行險, 當位以節,                              기뻐하며 험로를 가고 절도로써 자리를 담당하고

中正以通.                                           중정으로써 통하니리 

天地節而四時成,                                   천지가 절도가 있어 사시가 이루어지니 

節以制度, 不傷財不害民.                         제도로써 절약하여 재물을 손상하지 않으며 백성을 해롭게 하지 않는다 

 

<정자가 “이것은 절도(節)의 도(道)를 미루어 말한 것이다. 천지가 절도가 있는 까닭에 사계절을 이루는 것이니,

절도가 없으면 차례를 잃는다

성인이 제도를 세워 절도를 만든 까닭에 재물을 상하게 하지 않고 백성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사람은 욕심이 무궁하므로 진실로 제도로써 절제하지 않으면 사치하고 방자해서, 재물을 상하게 하고 백성을 해치는데 이른다“하였다> 

象曰, 澤上有水, 節,                                상에 "못위에 물이 있는것이 절도이니

君子以制數度, 議德行.                            군자가 이를 본받아 禮數와 제도를 제정하고 덕행을 평의(評議)하나니라 

 

初九, 不出戶庭, 无咎.                             초구는 문밖 뜰에 나가지 않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戶庭(호정)/호정 : 문밖의 뜰  

象曰, “不出戶庭”이나, 知通塞也니라.          상에 "문밖 뜰을 나가지 않음"은 나가지 않으나

                                                        통하고 막히는 것을 알아야 하느니라 


九二, 不出門庭, 凶.                                구이는 문밖 뜰에 나가지 않으니 흉하다   

       門庭/문정 : 대문이나 중문 안에 있는 뜰 

象曰, “不出門庭凶”은, 失時極也.                상에 " 문밖 뜰에 나가지 않으니 흉하다"함

                                                        때를 잃음이 지극하기 때문이다 


六三, 不節若, 則嗟若, 无咎.                      육삼은 절제하지 못하면 탄식하리니(경계하면) 허물이 없느니라 

 <3효가 음으로서 양의 자리를 차지하였으니, 조동(躁動/경거망동)하여 절제하지 못하는 현상이 있으나

   능히 경계하여 탄식하면 허물이 없게된다>

 象曰, “不節之嗟”, 又誰咎也!                    상에 "절약하지 못한 한탄"은 또한 누구를 허물하랴! 

 <동인괘 초효의 뜻과 같다> 


六四, 安節, 亨.                                      육사는 편히 절제함이니 형통하다

象曰, “安節之亨”, 承上道也.                     상에 "편히 절제하여 형통하다"함은 위의 도를 받들기 때문이다 


九五, 甘節, 吉, 往有尙.                           구오는 감절이라 길하니 가면 자랑할만한 일이 있으리라 

象曰, 甘節之吉, 居位中也.                       상에 감절의 길함은 居한 자리가 중이기 때문이

上六, 苦節, 貞凶, 悔亡.                           상육은 고절이니 정이면 흉하고 뉘우치면 흉함이 없어지리라 

象曰, “苦節貞凶”, 其道窮也.                     상에 "괴로운 절제가 곧으면 흉하다"함은 그 도가 궁색하기 때문이다  


'주역 > 64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小過卦第六十二  (0) 2020.04.15
주역(周易) 中孚卦第六十一  (0) 2020.04.15
주역(周易) 渙卦第五十九  (0) 2020.04.14
주역(周易) 兌卦第五十八  (0) 2020.04.14
주역(周易) 巽卦第五十七  (0) 202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