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64괘

주역(周易) 未濟卦第六十四

rainbow3 2020. 4. 15. 07:19


♣ 주역(周易) 未濟卦第六十四

   : 화수미제 火水未濟  

 

"초육효가 미제괘의 처음에 있으면서 음유한 재질로 아랫자리에 처하여 구사효의 응이 있으나 중정한 재질이 아니기 때문에 지원을 받아 건널 수가 없습니다. 대개 기제때에는 그 조급하게 나아가는 것을 경계했기 때문에 바퀴를 뒤로 끌며 꼬리를 적신다(曳輪濡尾)라는 경계를 둔 것이고 미제때에는 큰일을 하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꼬리를 적셨으니 부끄럽다(濡尾之吝)라고 한것이니, 대개 그 만난 바의 때가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주역의 도는 때를 중시하기 때문에 두 괘의 초효에서 이렇게 다르게 권면하고 경계한것입니다. 구이효가 다른 괘의 경우는 중을 얻은 것을 귀하게 여기는데 미제괘에서 지나치게 강함을 경계한 것은 무릇 다른 괘의 구이효와 육오효는 군신간에 서로 의기투합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강명한 신하가 유약한 임금을 보필하여 그 도를 행하는 것을 뜻으로 삼았지만 미제괘는 화가 위에 있고 수가 밑에 있어 어긋나게 가고 단절되어 막힌 뜻이 있기 때문에 대신의 자리에 있는 자가 마땅히 恭順함을 극도로 한 뒤에야 정도를 얻어 마지막까지 보전할 수가 있지, 만약 강양함을 펼쳐 恭順하게 하지 않는다면 지나치게 강한 잘못이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정전에서 郭子儀와 李晟의 일을 인용한 것도 깊은 뜻이 있으니 대개 德宗은 시기하고 편협하여 의심이 많기 때문에 이른 뜻을 드러낸 것입니다 

이는 人主가 경계해야 할 대목입니다"하니 상이 이르기를 추론한 것이 매우 좋다, 내가 유념하겠다.하였다 

신이 또 아뢰기를 

"육삼효는 陰柔한 재질로 험난함에서 빠져나올 작용도 없이 험한 체의 위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가면 흉한 상이 있으나, 험난함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험난함에서 벗어나는 이치가 있기 때문에 건너는 것이 이로운 상이 있는 것입니다. 무릇 미제 때에는 험난함에서 빠져나올 뜻이 있게 마련이지만 육삼효의 재질이 쓰기에 부족하기 때문에 이런 경계를 둔 것입니다. 그러나 천도가 추위와 더위라면 인사는 갖옷과 갈옷에 해당되니, 이런 때를 만나 이런 쓰임을 베푸는 것은 모두가 사람에게 달려 있기 때문에 군자는 시절의 험난함과 평탄함을 문제삼지 않고 모두 쓸바를 두는 것입니다"하였다    (葛庵集) 

 

易傳은 정이()의 저서다, 부주(州)에 귀양 가 이 책을 저술하던 중 잡괘(雜卦)에서 "미제는 남자의 궁함이다(未濟男之窮也)"라는 말을 잘 깨닫지 못하였는데, 하루는 어떤 사람(바로 성도은자/成都隱者)이 와서 그 대목의 뜻을 물었다. 정이가 머뭇거리며 대답을 못하자, 그 사람이 "세 양효가 제자리에 있지 못하여서이다"라고 하였다. 곧 미제괘는 離上坎下로 되어 있어 세 양효가 모두 1.3.5의 자리에 있지 못하고 2.4.6의 자리에 있으며 양효는 남자를 상징하기에 이르는 말이다(周易 未濟卦 傳) 

 

互體로 보면 旣濟의 속에는 이미 未濟가 포함되었고 未濟의 속에는 이미 旣濟가 포함되었다고 하신것은 진실로 聖上의 말씀과 같으며 이는 곧 "음과 양은 서로 그 집에 숨어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互體라는 것은 괘가 이미 變한 것이니, 萬若에 變하지 않은 것으로 말하면 未濟의 세 陽이 제자리를 잃은 것은 진실로 당연한 것입니다 

잡괘전에서 미제는 男子의 곤궁함이다 라고 한것에 대해서는 저 부주에서 통에 테를 메우던 선비도 대개 여기에 대하여 본 것이 있었던 것인데, 정이천이 듣고서 깊이 인정한 것은 또한 변하지 않은 것을 가리켜 말한 것입니다 

   (弘齋全書 經史講義 未濟卦) 

 

미제괘가 기제괘 다음에 나오는 것은 치란(治亂)이 상승(相乘)관계에 있기 때문인데 성인이 이에 경계하는 마음을 두신것이다  

未濟, 亨, 小狐汔濟하야, 濡其尾니, 无攸利하니라.  건너지 않음은 형통하니 어린 여우가 거의 건너가다,

                                                               그 꼬리를 적시니 이로운 바가 없다 

   汔/흘 : 거의,그,(물이)마르다,기/증기,수증기,헐/소금연못 

彖曰, “未濟, 亨”, 柔得中也오.                           단에 "미제는 형통하다"함은 柔가 中을 얻었기 때문이고  

“小狐汔濟”, 未出中也오,                                "어린여우가 거의 건넘"은 험한 가운데를 아직  나지 못함이고 

“濡其尾, 无攸利”, 不續終也.                           " 그 꼬리를 적시니 이로움이 없다"함은 계속하지 못하고

                                                               마쳐야 하기 때문이다 

雖不當位, 剛柔應也.                                      비록 자리가 마땅치않으나  강유가 서로 응하니라

象曰, 火在水上, 未濟,                                    상에 화가 물위에 있는 것이 미제이니 

君子以愼辨物하야 居方하나니라.                     군자가 이로써 보고 신중히 사물을 분별

                                                               方向에 居하게 하나니라   


初六, 濡其尾, 吝.                                         초육은 그 꼬리를 적시니 부끄럽다

象曰, “濡其尾”, 亦不知拯也.(朱子에 의해 極字를 拯字로 함)  상에 꼬리를 적시는 것은 또한 건지는 것을

                                                              알지 못함이라  


九二, 曳其輪, 貞吉.                                    구이는 수레바퀴를 뒤로 끌어당기니 정하고 길하다 

   曳/예 : 끌다,끌어당기다,고달프다,힘겹다,끌리다,나부끼다,옷을 입다  

象曰, 九二貞吉, 中以行正也.                         상에 " 구이에 정하고 길하다"함은 중으로써 행함이 바르기 때문이다 

 

六三, 未濟, 征凶, 利涉大川.                          육삼은 건너지 않고 계속 가면 흉하다, 대천을 건너는 것은 이롭다  

象曰, “未濟征凶”, 位不當也.                          상에 "건너지 않고 계속 가면 흉하다"함은 자리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九四, 貞吉, 悔亡,                                       구사는 정하니 길하고 후회가 없다

震用伐鬼方, 三年                                      진(震)이 귀방을 정벌함에 3년이 걸렸다 

有賞于大國                                             대국에서 상이 있었다 

象曰, “貞吉悔亡”, 志行也.                            상에 "정하고 길하여 뉘우침이 없다"함은 뜻이 행해지기 때문이다 


六五, 貞吉, 无悔,                                       육오에 정하고 길하여 뉘우침이 없다

君子之光, 有孚吉.                                      군자의 빛남이 미더움이 있어 길하다     

象曰,“君子之光”,其暉吉也.                           상에 "군자의 빛남"은 그 광채가 길하기 때문이라

上九, 有孚于飮酒, 无咎,                              상구는 믿음을 두고 술을 마시면 허물이 없거니와 

濡其首, 有孚失是.                                      머리를 적시면 믿음을 둠에 옳음을 잃으리라 

象曰, “飮酒濡首”, 亦不知節也.                       상에 "음주하고 머리를 적심"은 또한 절제를 모름이다 



'주역 > 64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旣濟卦第六十三  (0) 2020.04.15
주역(周易) 小過卦第六十二  (0) 2020.04.15
주역(周易) 中孚卦第六十一  (0) 2020.04.15
주역(周易) 節卦第六十  (0) 2020.04.15
주역(周易) 渙卦第五十九  (0) 202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