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 속의 행복 개념과 한국사회의 ‘행복’ 현상 동양사상 속의 행복 개념과 한국사회의 ‘행복’ 현상 유 승 무 (중앙승가대 포교사회학과) 1. 머리말 동서고금 그 누구를 막론하고 행복한 삶을 바라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희망사항과 다르기 일쑤다. 행복은 고사하고 생존 그 자체에 급급하거나 고통의 나날을 보.. 동양사상/일반 2019.10.16
칸트의 행복 개념에 대한 고찰 칸트의 행복 개념에 대한 고찰 강 준 호 [요 약 문] 도덕적 삶과 행복한 삶의 관계에 대한 칸트 윤리학의 대답은 무엇인가? 필자는 이 문제와 관련된 칸트의 입장에 대하여 두 가지 대조적인 해석을 가정한다. 하나는 칸트 윤리학은 순전히 의무에 관한 것으로서, 거기서 행복은 그다지 중.. 카테고리 없음 2019.10.15
인간의 행복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인간의 행복에 대한 새로운 접근* 김 성 동 <요 약 문> 이 글은 인간의 행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미 지적하였듯이, 행복은 인간 삶의 궁극 목적으로서 인간의 삶의 지침이다. 근대에 들어 인간의 행복은 계속하여 증대되는 듯이 보였지만, 갑작.. 인문철학/일반 201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