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세계 – 아니마(anima) anima / animus 영혼의 세계 – 아니마(anima) 1. 별 여신 이야기 마을에서 제공한 오두막집에 한 총각이 살고 있다. 지붕 위에 난 구멍을 통해 그는 예쁜 별 하나를 본다. 밤마다 그 별을 본 총각은 결국 별과 함께 사랑에 빠진다. 어느 날 그는 잠에서 깨어나 예쁜 한 여인이 침대 발치에 서 있는.. 인문철학/심리학 2020.03.04
무엇이 트라우마인가? 무엇이 트라우마인가?진화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트라우마의 이해와 분류* 이 홍 석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이 흥 표 대구사이버대학교 권 기 준 대구사이버대학교 최 윤 경 계명대학교 이 재 호 계명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진화심리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트라우마를 이해하고 분류하고.. 인문철학/심리학 2020.01.27
융의 분석심리학 카알 구스타브 융 C. G Jung (1875-1961) &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 1. 분석심리학의 인간관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ov Jung, 1875-1961)은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예민한 감수성을 지닌 때문인지 소년시절에 많은 발작증세를 앓았다. 실로 마음은 감수성의 크기만큼 세계에 대한 고통스러운 느.. 인문철학/심리학 2020.01.26
융의 인격론 융의 인격론 * 윤영돈 * 융(C. G. Jung, 1875-1961)은 20세기 초 심층심리학(depth psychology)의 발전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그는 스위스의 한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친할아버지는 외과의사이며 교수였으며, 외할아버지는 히브리어 교수자격을 가진 목사였다. 청년기에 .. 인문철학/심리학 2020.01.26
신화학적 분석과 신화비평(I) 신화학적 분석과 신화비평(I) * 조성애(연세대학교) * 서론 20세기의 놀라운 기술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폭로되는 인간의 야수성은 인간의 진보와 발전에 대한 믿음에 기초한 행복신화에 불안한 그림자를 던져주며, 인간은 도대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가장 근원적.. 인문철학/심리학 2020.01.25
트라우마, 기억, 정신분석학 그리고 내러티브 치료 트라우마, 기억, 정신분석학 그리고 내러티브 치료* 이민용 (강원대) I. 들어가며 우리 인간의 역사는 외상(trauma)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태초부터 자연이 일으켜온 화산, 지진, 홍수 등의 공포스러운 사건이나 인간이 인간에게 자행한 전쟁, 살인, 폭력 등의 사건은 인간에게 외상적인 .. 인문철학/심리학 2020.01.18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본 사랑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본 사랑 1) 사랑의 의미 대중의 마음을 담은 유행가가 쏟아져 나온 이래, 사람들이 즐겨 다루는 주제가 사랑이 된 것 같다. 이 사랑이라는 심리를 하나의 개념으로 정의하는 일은 참으로 힘든 일이다. 사랑이라는 단어는 다른 어떤 단어보다도 더 자주 여러 곳에서 사.. 인문철학/심리학 2019.10.20
프로이트 ‘나는 내가 생각하지 않는 곳, 바로 무의식 속에 존재한다’ -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 ‘나는 내가 생각하지 않는 곳, 바로 무의식 속에 존재한다’ 박영욱 숙명여대 교양학부 교수 프로이트에게 꿈이란 ‘현실에서 좌절된 욕망의 성취’… “내 의식이 감당할 수 없는 충격적이고도 이질적인 모습이 내 참모습”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세계가 우리.. 인문철학/심리학 2019.10.12
칼 구스타프 융의 동시성 이론과 그 의미 칼 구스타프 융의 동시성 이론과 그 의미 전 철 1, 들어가며 : 왜 동시성 현상이 문제인가? 우리는 일상 가운데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다. 우리는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낯선 곳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언젠가 한 번 왔었다는 아련한 느낌, 혹은 현실에서의 이 순간은 언젠가 꿈에서 한 번 보았.. 인문철학/심리학 2019.09.19
칼 구스타브 융의 ‘양심론’ 칼 구스타브 융의 ‘양심론’ Ⅰ. 생각해보기 칼 구스타브 융 (Carl Gustav Jung, 1875 ~ 1961) “내 생애는 무의식이 그 자신을 실현한 역사이다. 무의식에 있는 모든 것은 사건이 되고 밖의 현상으로 나타나며, 인격 또한 그 무의식적인 여러 조건에 근거하여 발전하며 스스로를 전체로 체험하게.. 인문철학/심리학 2019.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