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신유학과 서학의 세계관에 대한 차이점 조선후기 신유학과 서학의 세계관에 대한 차이점* 황준연** * 이 논문은 2006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 된 연구임 (KRF-2006-013-A00129). ** 전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주제분류】 동양철학, 유학, 서학(천주교), 宋學, 존재론, 세계관 【주요어】 太極, 理, 氣, 天主, 영혼, 邪.. 동양사상/일반 2019.09.14
철학에 대하여 당신은 ‘여우’인가, ‘고슴도치’인가 철학에 대하여 - 김재홍 철학 아카데미 상임위원 기원전 7세기 전반에 살았던 초기 그리스 서정시인 아르킬로코스의 한 시구에 이런 말이 전해진다. “여우는 많은 것을 알지만, 고슴도치는 하나의 큰 것을 안다.” ‘여우와 고슴도치’ 대조는 .. 인문철학/일반 2019.09.14
브라이언 트레이시 명언 Brian tracy : 브라이언 트레이시 모든 것은 인과(인연)의 법칙.. 뿌린대로 거둔다.. 1. 모든 세일즈와 기술은 배울 수 있다. 몇몇 어른들이 이렇게 말하곤 한다. 걔는 니 기술이 있잖아! 나도 어릴 때 기술을 배워놓는건데. 어리거나 젊다고 해서 나이가 든 사람에 비해 뭔가를 빨리 습득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인터넷기사를 보면 나이가 들어 시작해서 실력자가 되거나 하는 사례를 무수히 볼 수 있다. 술을 마시거나 하며 허투루 보내는 시간을 뭔가를 배우는데 쓴다면 나이에 상관없이 어떠한 기술이든 배울 수 있다. 2. 좋아하는 일을 하라. 사실 이 문제는 좋아하는 일을 찾는게 더 어렵다. 하지만 좋아하는 일을 찾게되면 어릴 적부터 그런 쪽에 관심있어했던 본인의 과거의 모습을 떠올리게 될 것이다. 잘.. 자기 개발 2019.09.13
인식의 구조와 그 한계(II) 자아인식의 구조와 그 한계(II) 인문학 강의 _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 자아의 개념 철학뿐만 아니라 인문학의 중심 과제 중 하나는 ‘자아의 개념’이다. 인문학에서는 탐구의 주체인 자아가 동시에 탐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그 결과는 객관적 현상으로 환원될 수 없다. 또한 자아의.. 인문철학/일반 2019.09.13
인식의 구조와 그 한계(I) 인식의 구조와 그 한계(I) 인문학 강의 _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 우리가 질병 진단을 받으면 처방이 따라오고, 그 다음 치료를 하게 된다. 이 과정은 의사가 담당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한 시대나 사회의 질병은 매우 복합적이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의사 혼자서 모든 것을 담당할 수는 .. 인문철학/일반 2019.09.13
한국적 상황과 정체성(Ⅱ) 한국적 상황과 정체성(Ⅱ) 인문학 강의 _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 한국적 상황과 국가 발전 한 국가의 발전 정도를 측정할때 경제, 정치, 문화의 측면을 고려한다. 국민 대다수가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다면 발전한 국가라고 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질적 재화를 비롯한 모든 가치가 .. 인문철학/일반 2019.09.13
한국적 상황과 정체성(Ⅰ) 한국적 상황과 정체성(Ⅰ) 인문학 강의 _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 한국적 상황과 정체성을 이해하려면 역사를 근거로 하는 수직적 측면, 시대적 상황을 근거로 하는 수평적 측면 두 가지를 모두 적용하는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국은 분단된 상황에서도 선진국으로 약진했다는 .. 인문철학/일반 2019.09.13
소크라테스적 자아 인식(Ⅱ) 소크라테스적 자아 인식(Ⅱ) 인문학 강의 _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 도덕적 추론과 변증술 소크라테스가 진리에 가까이 가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오늘날 널리 알려진 ‘논증’의 한 방식인데, 그것은 대화를 통한 ‘문답법’ 형식을 취한다. 초기에는 ‘논박술(elenchus)’이라고 불렀으.. 인문철학/일반 2019.09.13
소크라테스적 자아 인식(Ⅰ) 소크라테스적 자아 인식(Ⅰ) 인문학 강의 _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 [독서신문]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소크라테스(socrates)는 석가, 예수, 공자와 함께 4대 성인 혹은 현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들은 서로 다른 시대, 다른 지역에서 태어나 전혀 다른 문화 배경 속에서 활동.. 인문철학/일반 2019.09.13
과학기술 시대에서의 비판적 합리주의(Ⅱ) 과학기술 시대에서의 비판적 합리주의(Ⅱ) 베이컨이 과학적 지식의 유용성을 강조한 이래 급격하게 과학과 기술이 만나게 됐고, 그 힘이 축적돼 영국의 산업혁명과 프랑스의 정치혁명을 이루게 됐으며, 오늘날 이른바 ‘문화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그 이후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세계.. 인문철학/일반 2019.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