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 復卦第二十四 ♣ 주역(周易) 復卦第二十四 : 지뢰복 乾에서 姤>坤>復>夬로 돌아 乾이 된다 純陰의 달인 10월을 지나 동지가 되면 밑에서 일양(一陽)이 始生하는 지뢰복괘(地雷復卦)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땅속에서 우레가 울리는 것을 상징한다 山地剝卦 상구(上九)에 碩果不食이라 하였는데, 이.. 주역/64괘 2020.03.23
주역(周易) 剝卦第二十三 ♣ 주역(周易) 剝卦第二十三 : 산지박 박괘(剝卦)의 상구효(上九爻)가 거꾸로 내려와 복괘(復卦)가 되다니 그 이치가 묘하다(상촌선생집) 陰이 盛長하고 陽이 消落하는 상으로 陽剛의 君子란 바로 剝卦의 유일한 陽爻를 말한다 박괘(剝卦)상구(上九)의 碩果不食이 바야흐로 끝나서 변하여 .. 주역/64괘 2020.03.23
주역(周易) 賁卦第二十二 ♣ 주역(周易) 賁卦第二十二 : 산화비 艮上離下/간상리하(山火賁) 비괘(賁卦)는 강유(剛柔)가 서로들 바꿔가며 수식해 주는 것이다 賁, 亨, 小利有攸往하니라. 비는 형통하니,가는 것이 있음이 조금 이롭다 賁/비 : 꾸미다,장식하다,섞이다,분/크다,거대하다,달리다,아름답다 彖曰, 賁亨은, .. 주역/64괘 2020.03.23
주역(周易) 噬嗑卦第二十一 ♣ 주역(周易) 噬嗑卦第二十一 : 화뢰서합 화뢰서합괘(火雷噬嗑卦)와 뇌화풍괘(雷火豊卦)는 모두 옥사(옥事)를 판결하는 상을 가지고 있다 서합괘는 초효와 상효외에 '살코기를 씹는 것과 같다"고 한것과 "질긴 고기를 씹는 것과 같다"고 한 것과 "뼈가 있는 말린 고기를 씹는 것과 같다"고.. 주역/64괘 2020.03.21
주역(周易) 觀卦第二十 ♣ 주역(周易) 觀卦第二十 : 풍지관 巽上坤下(손상곤하)/풍지관(風地觀) "제사를 지낼 때 처음 손을 씻을 때처럼 하고 제수(祭需)를 다 올렸을 때처럼 하지 않는다"고 한 것은 즉 아직 발동하기 전의 기상이다(상촌집) 임(臨)과 관(觀)의 뜻은 혹은 내가 가서 상대하고 혹은 상대방이 와서 구.. 주역/64괘 2020.03.21
주역(周易) 臨卦第十九 ♣ 주역(周易) 臨卦第十九 : 지택림 坤上兌下(곤상태하) 임괘의 육삼효는 하괘인 태괘(兌卦)의 상위에 거하고 있는데, 태괘(兌卦)는 즐거워하는 속성에 민첩하게 말을 잘 하는 상이 있으므로 "감언이설로 사람에게 임한다(甘臨)"고 경계한 것이다(상촌집) 천지의 변화 또한 그러하다, 낮에 .. 주역/64괘 2020.03.21
주역(周易) 蠱卦第十八 ♣ 주역(周易) 蠱卦第十八 : 산풍고 艮上巽下(간상손하)/山上風下 산이 위에 있고 바람이 아래에 있는 상으로 단사에 "큰강을 건너는 것이 이롭다고 한 것은 거기에 가면 할일이 있게 되기 때문이다"라 하였다 산은 고요한 물건이요 바람은 움직이는 물건이다, 고요한 상태에서 움직임의 .. 주역/64괘 2020.03.18
주역(周易) 隨卦第十七 ♣ 주역(周易) 隨卦第十七 : 택뢰수 兌上震下(태상진하/澤雷隨) 천둥이 하늘에 있지 않고 땅에도 있지 않고 못에 있는 것은 장차 땅으로 들어가려는 상이다. 그래서 "저녁에 안으로 들어가 휴식을 취한다"는 말을 취한 것이다(상촌선생집) 艮卦(간괘)의 二爻가 변하면 隨卦(수괘)의 반체가 .. 주역/64괘 2020.03.18
주역(周易) 豫卦第十六 ♣ 주역(周易) 豫卦第十六 : 뇌지예 예괘는 진상곤하(震上坤下)로서 천둥이 땅속에서 나오는 상이다 천둥이 땅에서 나오면 소리가 있으니 음악을 만드는 것은 그 소리를 취한 것이다. 그런데 예괘는 허물이 있어 우(盱)라하고 명(鳴)이라 하고 명(冥)이라 하였으니, 이는 경계시킨 것이다. .. 주역/64괘 2020.03.18
주역(周易) 謙卦第十五 ♣ 주역(周易) 謙卦第十五 : 지산겸 겸괘를 보건대 아래는 간괘(艮卦), 위는 곤괘(坤卦)로 되어, 안으로 그치고 밖으로 순응하는 것이 겸괘의 뜻이다 초육(初六/괘의 가장 아래 음효(陰爻))은 유(柔)한 덕으로 아래 있어 겸손하고 또 겸손한 군자(君子)의 상이 있다. 그러므로 공자가 해석하.. 주역/64괘 2020.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