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장 - 마까, 빨라사, 소까, 도마나사 마까(Makkha) - 배은망덕, 남을 폄하함 성냄(dosa)과 함께 재가자의 삶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배은망덕(makkha), 악의(palāsa), 근심(soka), 비탄(parideva), 육체적 고통(dukkha), 정신적 고통(domānassa), 절망(upāyāsa)도 고찰해야 한다. 이 가운데 마까(makkha)란 배은망덕이나 다른 사람의 친절을 깨닫지 ..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학문을 이루는 두 가지 길 학문을 이루는 두 가지 길 직업교육은 생계수단을 뜻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 하지만 빨리 성전을 배우는 비구에게는 배움을 얻는 데 두 가지 길이 있다. 낮은 길 탐욕, 성냄, 자만으로 빨리 삼장을 배우는 것은 낮은 길이다. “학식 있게 되면 나는 유명해질 거야. 내 신..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 장 - 사떼야(거짓부리, 위선), 마나(자만) 사떼야(Sāṭheyya) - 거짓부리, 위선 마야와 함께 사떼야(Sāṭheyya)도 이해해야 한다. 특정한 덕성이 있는 척하면서 남들로 하여금 자신을 존경하도록 할 때 그러한 탐욕(Lobha)을 사떼야(Sāṭheyya)라고 한다. 마야가 자신의 허물을 숨기고 허물없는 척 하는 것인데 반해 사떼야는 있지도 않..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마야(Maya) 마야(Māyā) - 술수 어떤 경우에는 갈애와 탐욕(taṇhā-lobha)을 마야(Māyā)라고도 한다. 그러면 마야의 성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마야는 마법사와 요술쟁이와 같다. 마법사는 관객들 앞에서 돌을 들고서 금덩어리라고 믿게 한다. 바로 이와 같이 마야는 사람의 허물을 감춰버린다. ..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짠물을 들이킴 짠물을 들이킴 아이는 태어나서부터 부모, 친척, 친구등을 사랑하기 시작한다. 또 아이는 커가면서 놀이친구와 벗을 좋아하고 애정을 키우기 시작한다. 원초적 본능을 따라가면 마치 짠물을 들이키듯이 사랑에 대해 더욱 목말라 한다. 그러면 그 짠물을 계속해서 들이키게 되고 갈증은 ..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양심 없음, 수치심 없음. 들뜸, 탐욕 2. 아히리까(Ahirika) - 양심 없음 도덕적으로 부끄러워 할 줄 모르는 것을 아히리까(ahirika)라고 한다. 부도덕하고 불선한 모든 행위는 똥과 같다. 아히라까(ahirika)는 마을의 돼지와 같다. 똥은 매우 혐오스럽기 짝이 없는 것으로 똥이 묻어 있으면 사람들 앞에서 아주 당황하게 된다. 반면에 ..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불선한 마음의 작용 제 2장 마음의 작용과 불선한 마음의 작용 마음의 작용 또는 정신적 요소 - 쩨따시까(Cetasika) 마음의 작용(cetasika)이 마음을 결정한다. 마음의 장에서 선하고 악한 마음의 개념에 대해 이미 설명했다. 하지만 마음의 유일한 기능은 대상을 아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자체는 선하거나 악할 수 ..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1장-왜 마음을 선하게 바꿔야 하는가? 왜 마음을 선하게 바꿔야 하는가? 우리가 마음을 선하게 바꾸어야 하는 이유는 많다. 우리는 스스로의 마음의 약점과 단점을 가장 잘 알고 있다. 비록 일부 사악한 사람들이 세상에서 높은 지위를 얻지만 도덕적 성품이 낮고 형편없기 때문에 내생에는 사악처에 떨어질 것이다. 그렇기 때..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1장 궁극적 실재(Paramattha)와 마음 제 1장 궁극적 실재(Paramattha)와 마음 (빠라맛따에 대하여, 궁극적 실재와 마음) 네 가지 궁극적 실재(Paramattha) 궁극적 실재로 번역한 빠라맛따(Paramattha)는‘최상의 본성’을 뜻하는 빨리어다 . 여기서 빠라맛따는 ‘최상의 본성’을 뜻하는 빨리어다. '최상의’라고 번역한 ‘Parama’는 높..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주역(周易) 歸妹卦第五十四 ♣ 주역(周易) 歸妹卦第五十四 : 뇌택귀매 震上兌下/진상태하,雷澤歸妹 귀매괘는 소녀(少女)가 장남(長男)을 따르는 괘입니다. 여자가남자를 따르는 것이 꼭 안 좋은 것은 아니지만 괘덕으로 말해보면 기뻐서 움직이고 움직여 기뻐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가면 흉하다(征凶)"라는 경계가 .. 주역/64괘 2020.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