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 巽卦第五十七 ♣ 주역(周易) 巽卦第五十七 : 중풍손 震卦는 한번 구하여 남자를 얻고 巽卦는 한번 구하여 여자를 얻는다고 할 때 이른바 한번 구한다는 것은 진괘가 한번 구한다는 것은 坤이 乾을 구하는 것이고 巽卦가 한번 구한다는 것은 乾이 坤을 구하는 것이다 乾卦의 下卦가 변하여 巽卦가 되기 .. 주역/64괘 2020.04.14
주역(周易) 旅卦第五十六 ♣ 주역(周易) 旅卦第五十六 : 화산여 離上艮下 불이 산위에 있는 것은 제 곳에 있는 것이 아니다 상구효에 보금자리를 불태운다(焚巢)고 말한 것은 산 위에 있는 불의 상을 취한것인데, 이는 구(九/陽)가 위에 있기 때문이다 旅, 小亨코, 旅貞하야 吉하니라. 여는 조금 형통하고, 여는 정하.. 주역/64괘 2020.04.14
주역(周易) 豐卦第五十五 ♣ 주역(周易) 豐卦第五十五 : 뇌화풍 화뢰서합괘(火雷噬嗑卦)와 뇌화풍괘(雷火豊卦)는 모두 옥사(옥事)를 판결하는 상을 가지고 있다 옥사는 백성들의 목숨이 관계되는 것이기 때문에 주역의 대상에서 더욱 신중을 기하였습니다, 예컨대 여괘대상의 형벌 쓰기를 밝게 하고 신중하게 한.. 주역/64괘 2020.04.14
탐욕과 탐욕없음 5. 탐욕없음(아로바, Alobha) 탐욕없음(alobha)이란 사물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며 뭔가를 원하는 탐욕(lobha)의 대가 되는 것이다. 탐욕(lobha)과 탐욕없음(alobha)은 물과 불과의 관계와도 같다. 탐욕(lobha)이 뭔가를 원하는 것이라면 탐욕없음(alobha)은 그 본성이 탐욕스럽지 않음, 관대함, 베풀기이..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알아차림, 양심과 수치심 2. 알아차림(Sati) 회상, 기억, 주의깊음은 빨리어로 사띠(sati)라고 하는 알아차림을 정의하는 용어이다. 다양한 형태의 알아차림이 있는데 예를 들면 이전에 행했던 공덕행을 회상해낸다 든지, 주의 깊게 들어서 법문을 기억해 낸다든지, 명상을 하는 동안 명상 주제를 잃지 않으려고 깊이 .. 동양사상/기타 2020.04.13
회의적 의심이 아닌 일반적인 의문 회의적 의심이 아닌 일반적인 의문 단어나 문장의 뜻에 품는 의문이나 여행을 갈 때 어떤 길을 가야 할지에 대한 의문 등은 회의적 의심(vicikicchā)에 속하지 않는다. 아라한도 때로는 어떠한 행위가 율에 어긋나는 게 아닌가 하며 율의 의미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이 경우는 회의적 의심(..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인색, 후회, 해태와 혼침, 회의적 의심 10. 인색(Macchariya) 불선한 마음의 작용인 인색을 마짜리야(macchariya)라고 한다. 요즈음에 일부 사람들은 남에게 뭘 주거나 보시하기를 꺼려한다. 이러한 것이 인색이라고 오해하는데 사실 인색은 남들이 아무것도 얻지 못하길 바라는 것을 뜻한다. 인색한 사람은 남을 질투하고 남이 재산을..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절망/질투/멧돼지와 에메랄드 동굴/자찬과 남을 비하함/과시/시기적절한 공표/비난 절망(upāyāsa) 재산의 손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몰락이나 실패를 맛보면 절망(upāyāsa)이 일어나는데 이 절망은 격분을 뜻한다. 일반적인 성냄은 폭력과 살생을 행하게 하지만 절망은 극도의 걱정과 화를 일으킨다. 가슴속의 걱정과 격분의 불길은 몸을 순환하는 피가 끓어오르게 한..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라바/아라바/야사/아야사/닌다//파삼사 ♣ 라바(Lābha)와 아라바(Alābha), 야사(Yasa)와 아야사(Ayasa), 닌다(Nindā)와 파삼사(Pasaṁsā) 이 여덟 가지 세간법이란 삶의 네 가지 좋은 상황과 네 가지 나쁜 상황이다. 여러분이 네 가지 좋은 상황을 만나면 우쭐하거나 자만해서는 안 된다. 만약 여러분이 우쭐하거나 반대로 고뇌에 빠진..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2장 - 빠리데와, 육체적 고통(Dukkha)과 정신적 고통(Domānassa) 빠리데와(Parideva) - 비탄 비탄을 빠리데와(parideva)라고 한다. 그런데 이 비탄의 근저에는 성냄(dosa)과 정신적 고통(domānassa)이 도사리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위. 일자리, 명예, 권력, 재산 등을 상실하면 근심하고 슬퍼한다. 더 이상 근심(soka)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는 엉엉 우는데 이.. 동양사상/기타 2020.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