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장 - 불선한 마음의 작용 제 2장 마음의 작용과 불선한 마음의 작용 마음의 작용 또는 정신적 요소 - 쩨따시까(Cetasika) 마음의 작용(cetasika)이 마음을 결정한다. 마음의 장에서 선하고 악한 마음의 개념에 대해 이미 설명했다. 하지만 마음의 유일한 기능은 대상을 아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자체는 선하거나 악할 수 ..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1장-왜 마음을 선하게 바꿔야 하는가? 왜 마음을 선하게 바꿔야 하는가? 우리가 마음을 선하게 바꾸어야 하는 이유는 많다. 우리는 스스로의 마음의 약점과 단점을 가장 잘 알고 있다. 비록 일부 사악한 사람들이 세상에서 높은 지위를 얻지만 도덕적 성품이 낮고 형편없기 때문에 내생에는 사악처에 떨어질 것이다. 그렇기 때.. 동양사상/기타 2020.04.13
제 1장 궁극적 실재(Paramattha)와 마음 제 1장 궁극적 실재(Paramattha)와 마음 (빠라맛따에 대하여, 궁극적 실재와 마음) 네 가지 궁극적 실재(Paramattha) 궁극적 실재로 번역한 빠라맛따(Paramattha)는‘최상의 본성’을 뜻하는 빨리어다 . 여기서 빠라맛따는 ‘최상의 본성’을 뜻하는 빨리어다. '최상의’라고 번역한 ‘Parama’는 높.. 동양사상/기타 2020.04.13
自我와의 疏通 自我와의 疏通 -자신의 내면을 향한 두 가지 목소리- 姜玟求* 目 次 1. 서론2. 李奎報의 자아 소통 -진솔과 해학3. 申欽의 자아 소통 -시련과 맞선 절대 자유4. 宋時烈의 자아 소통 -自警에 담긴 悔恨의 自嘲5. 尹愭의 자아 소통 -自嘲가 품은 自負6. 결론 1. 서론 소통은 자아와 세계 간에 이루.. 동양사상/일반 2020.03.04
현대 한국사회의 이름짓기 방법과 특성에 관한 고찰 현대 한국사회의 이름짓기 방법과 특성에 관한 고찰 (『종교연구』제65집, 한국종교학회, 2011년 12월) 김만태 문학박사/서라벌대학교 풍수명리과 전임교수·학과장 Ⅰ. 머리말 Ⅱ. 이름이 갖는 의미와 기복성 Ⅲ. 한국사회에서 이름짓기의 변화와 경향 Ⅳ. 이름짓기의 여러 방법과 음양오.. 동양사상/일반 2020.03.03
명심보감 18~20,24 ♥ 교우(交友)편-18 1. 공자 : 선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마치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안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그 향기로움을 알지 못하니 이는 바로 그와 더불어 동화된것이니라. 선하지 못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마치 저린 생선을 펼쳐 놓은 곳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 동양사상/기타 2020.02.21
명심보감 13~17 ♥ 치정(治政)편-13 1. 북송 : 처음 벼슬하는 선비라도 진실로 사물을 사랑하는 마음을 지닌다면, 사람들에게 반드시 도움을 주는 바가 있으리라. 2. 당나라 : 위에는 지시하는 이가 있고, 중간에는 이에 의하여 다스리는 관원이 있고, 그 아래에는 이에 따르는 백성이 있다. 백성이 바친 폐.. 동양사상/기타 2020.02.21
명심보감 11,12 ♥ 성심(省心)편-11 1. 경행록 : 보화는 쓰면 다함이 있으나, 충효는 누려도 무궁하니라. 2. 집안이 화목하면 가난하여도 좋으나, 의롭지 아니하면 부유하여 무엇하랴? 단지 자식이 하나라도 효도하는 자식을 두어야지, 자손이 많은들 어디다 쓰리오? 3. 아버지가 마음을 근심하지 않음은 자.. 동양사상/기타 2020.02.19
명심보감 8~10 ♥ 계성(戒性)편-8 1. 경행록 :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아서 물이 한번 쏟아지면 다시 주어 담을 수 없듯이, 성품이 한 번 방종해지면 바로 돌이킬 수 없을 것이니, 물을 제어하는 것은 반드시 제방으로써 하고 성품을 제어하는 것은 반드시 예법으로써 하여야 한다. 2. 한 때의 분함을 참으면.. 동양사상/기타 2020.02.18
명심보감 6,7 ♥ 안분(安分)편-6 1. 경행록 : 만족함을 알면 즐거운 것이요, 탐욕에 힘쓰면 근심하게 되느니라. 2. 만족함을 아는 자는 빈천해도 즐거울 것이요, 만족함을 알지 못하는 자는 부귀해도 또한 근심만 하느니라. 3. 도에 넘치는 생각은 정신만 상하게 하고, 망령된 행동은 도리어 재앙에 이르게.. 동양사상/기타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