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23

참된 제사는 무엇인가?

꾸따단따 경 - 참된 제사(D5) 바라문들은 유일신을 믿는다. 그들이 믿는 신의 이름은 브라흐마(범천)이다. 브라흐마는 세상의 창조자이고 인간의 길흉화복을 주재하는 주재자(主宰者)이다.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이 그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인간의 자신의 의지에 따라 할 수 있는 일은 전혀 없다. 모든 것은 신의 뜻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신을 달래거나 잘 보이기 위해 뇌물을 쓰는 수밖에 없다. 그것이 희생제이다. 불교를 제외한 세상의 거의 모든 종교는 신을 믿는 종교이다. 과학이 발달되지 않았던 고대의 인간들은 천재지변이나 불가항력적인 사건들이 모두 신이 인간에게 내리는 벌이라고 생각했다. 인간은 희생제를 지내 신을 달래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성경에 아브라함이..

동양사상/불교 2020.06.24

빠알리 니까야와 신앙생활

빠알리 니까야와 신앙생활 /마성스님 빠알리 니까야에 기록된 가르침은 출가 제자들이나 신도들이 자율적 윤리체계로 인식하여 자발적으로 선택할 때에는 단지 가르침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삼귀의와 함께 일상의식에서 늘 독송되는 신앙 지침이 된다. 예를 들어 빠알리 니까야에 기록된 오계는 단지 중국에서 번역된 것처럼 불살생·불투도·불사음·불망어·불음주가 아니라 상세한 생활 지침을 내포하고 있다. 이 오계를 붓다 당시의 원어에서 그대로 번역해보면 자명하게 나타난다.불살생은 추상적으로 들리지만 “살아 있는 생명을 해치지 않는 계행을 지키겠습니다.”라는 말은 일상적이고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담론을 포함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두번째 불투도란 말도 애매하다. 세상이 모두 도둑놈인데 도둑질이 어디 있는가 묻는다면 애매..

동양사상/불교 2020.06.24

정신적 수행을 위해 한달에 4일은 남겨 놓는 것

정신적 수행을 위해 한달에 4일은 남겨 놓는 것 전통적으로 불교도들에게 음력으로 정한 어떤 날들은 재가 신도들이 절에 가서 수행하고 배우며 시간을 보내는 ‘절에 가는 날’ 또는 계를 지키는 날로 되어있다. 이것은 아주 오래된 불교의 전통이다. 우리의 선조들은 한 달 중, 재가 신도를 위해서는 26일을 주었다. 그리고 4일은 절에 가서 수행하는 날로 정한 것이다. 재가자들에게 세속의 생활이 더 많은 날들을 차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다르마 속에서 훈련 할 기회를 가지는 것은 우리에게 참 중요한 일이다. 붓다는 “낮과 밤은 실로 가차 없이 지나간다 ; 우리는 어떻게 시간을 보내야 할 것인가 ?”라고 말한다. 붓다는 우리가 잊어버리고 경망하게 살까봐 걱정하는 것이다. 그래서 붓다는 날들이 지나가고 있다는 ..

동양사상/불교 2020.06.23

수행자가 세워야 할 서원

♣ 수행자가 세워야 할 서원 부처님이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의 일이다. 어느 날 한 수행자가. '구족계를 받고 고요한 곳에서 관법을 닦아 성취하리라'고 생각하고 부처님께 이 뜻을 말했다. 부처님은 이를 계기로 수행자가 어떤 원을 세우고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말씀했다. "수행자들이여. 그대들은 마땅히 이와 같은 서원을 세워야한다. 부처님의 은혜를 갚기 위하여 구족계를 받고 고요한 곳에서 관법을 수행하여 성취하리라는 원을 세워야 한다. 친족이 천상에 태어나게 하기 위하여 구족계를 받고 고요한 곳에서 관법을 수행하여 성취하리라는 원을 세워야 한다. 내게 음식과 의복과 모든 생활도구를 보시하는 사람에게 큰 공덕이 있도록 하기 위해 구족계를 받고 고요한 곳에서 관법을 수행하여 성취하리라는 원을 세워야 한..

동양사상/불교 2020.06.23

오계를 지켰을 때의 이익과 지키지 않았을 때의 불이익

오계를 받아 지킨다 1. 생명 있는 모든 것을 죽이지 않는다. 2. 주지 않는 물건은 갖지 않는다. 3. 사음을 하지 않는다. 4.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5. 술, 담배, 마약 등을 하지 않는다. -오계를 지켰을 때의 이익과 지키지 않았을 때의 불이익 1. 만일 다른 생명을 해쳤을 때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나타난다. 가) 눈, 귀, 코와 팔, 다리 같은 감각기관이 신체적으로 불구가 된다. 나) 평생동안 건강하지 못하고 생기가 없고 창백한 외모를 갖게 된다. 다) 무기력증이 있다. 라) 효율성이 부족하다. 마) 위험이 닥칠 때 겁을 먹고 두려워한다. 바) 남의 손에 죽든가 제 손으로 목숨을 끊는다. 사) 병약하다. 아) 친구를 잃는다. 자) 수명이 짧다. 2. 도둑질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은 좋지 않은 결..

동양사상/불교 2020.06.23

보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보시 완전 정복) |

보시 Daana The Practice of Giving 비구 보디 역음 혜인 스님 옮김 차 례 들어가는 말 ----------------------- 비구 보디 보시의 실천 ----------------------- 수잔 엘바움 주틸라 빨리 경전속에 나타나는 보시 --------- 릴리 드 실바 마음에서 우러난 보시 --------------- M. O'C. 월슈 보시는 속마음의 표시다 ------------- 니나 봔 고르콤 보살의 보시행 (짜리야 삐따까 주석서) -- 비구 보디 영역 들어가는 말 비구 보디 무엇인가를 베푸는 행위는 언제 어디서나 가장 기본이 되는 인덕(人德)의 바탕으로 알려져 있다. 베푸는 것을 보면 그 사람의 인간 됨됨이가 얼마나 속 깊은지 또는 자기의 한계를 얼마나 뛰어 넘을 수..

동양사상/불교 2020.06.22

아는 마음(식)과 관찰하는 마음(사띠)

수행자 : 사야도께서 일하는 마음으로서의 알아차림과 아는 마음으로서의 식(識, 윈냐나)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아는 마음에 대해서 많은 말씀을 해주셨는데, 아는 마음의 기능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주십시오. 사야도 : 식(識)은 대상과 함께 일어나는 마음이다. 아는 마음은 수행을 통해 알아차릴 수는 있지만 사용할 수는 없다. 아는 마음은 대상을 접촉하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마음이기 때문이다. 일하는 마음이 - 나는 이것을 관찰하는 마음이라고 부르지만 - 현존하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을 알아차릴 수 있다. 그러나 오온 중 다른 요소들 즉 느낌, 지각, 상카라가 식을 따라 함께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들 요소들은 항상 동시에 작용한다. 수행자 : 식에 파장을 맞추는 것이 도움이 됩니까? 식을 ..

동양사상/불교 2020.06.22

장로 스님의 교화(수행의 경지를 점검하다)

담마딘나 스님의 교화 1. 마하나가 장로를 일깨우다 타랑가라에 주석하고 있던 담마딘나 장로는 큰 비구대중을 가르치던 스승으로서 네 가지 분석지 주9 를 구족한 분으로 번뇌를 소멸시킨 위대한 스승 중의 한 분이셨다. 하루는 낮 정진처에서 좌선을 하고 있던 중 문득 궁금증이 생겼다. `웃차왈리카에 계시는 우리 스승 마하-나가 장로는 출가자의 본분사를 다해 마치셨을까, 아니면 아직도 못 마쳤을까?' 그리고는 천안으로 보니 스승은 아직도 범인에 머물러 있으며, 자신이 가서 도와주지 않으면 범부로서 생을 마치고 말 형편이었다. 그는 신통력을 써서 공중으로 치솟아 올라 낮 정진처에 앉아 좌선하고 있는 스승의 근처에 조용히 내려섰다. 그는 스승께 예를 갖추어 절한 다음, 한쪽에 자리잡고 앉았다. "담마딘나여, 어찌 ..

동양사상/불교 2020.06.22

반야심경 원문과 해석

● 般若心經 原文 과 해석​ ​ ​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 관세음보살이 큰 지혜로 저 깨달음의 언덕에 이르는 깊은 수행을 하실 때에,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를 이루고 있는 다섯 가지 구성요소인 물질적 형상과 느낌, 생각, 의지, 인식작용은 모두 고정된 실체가 없이 텅빈 것임을 훤히 비추어 보시고 모든 괴로움과 불행에서 벗어나셨다.​ ​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 ​ 사리불이여! 물질적 형상으로 나타나 우리 눈에 보이는 세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텅빈 본질세계와 다르지 않고, 텅..

동양사상/불교 2020.06.20

4가지 집착과 다른 종교에는 성인이 없는 이유

4가지 집착과 다른 종교에는 성인이 없는 이유 불교와 여타 종교와 차이점이 무엇인지 아는가? 그 차이점은 영원주의(常見)와 허무주의(斷見)라는 극단적인 견해와 무아(無我)의 이론이다. 이 차이 때문에 다른 종교에는 없고 불교에만 성인이 있다고 사자후를 토한다. 모든 짐승들이 두려워 떠는 사자의 포효소리를 들어보았는가? 붓다께서는 확신에 찬 어조로 이렇게 사자후를 토하셨다. “불교에만 성인이 있다.”(작은 사자후 경, M11) 성인(聖人) 또는 성자(聖者)라는 개념을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성인(성자)은 영어로 Saint이다. Saint라고 말하면 천주교에서 성인으로 추대된 성자(Saint)라는 의미를 떠오르게 한다. 천주교의 성인은 교황청에서 추대된 인물이다. 그들은 대체로 박해받고 순교한 사람이나,..

동양사상/불교 2020.06.20